티스토리 뷰
튜플이란?
튜플 자료형을 만들어봅시다.
tup1 = (1, 2, 3, 4) tup2 = ("lemon", "candy")
우선 소괄호에 값들을 넣고, 각 값을 ,(쉼표)로 구분하면 됩니다. type(변수명)을 치면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ass 'tuple'>라고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up1 = 5, 6, 7 tup2 = "ti", "story"
소괄호를 사용하지 않더라고 쉼표로 구분해서 값을 여러개 적으면 튜플로 선언됩니다. tup1과 tup2의 타입을 확인하시면 튜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uple("lemon") #("l", "e" "m" "o" "n") tuple([1, 2, 3, 4]) #(1, 2, 3, 4)
마지막 방법은 tuple() 함수에 넣는 것입니다. 문자열, 리스트 등 자료형을 tuple()함수에 넣으면 튜플로 변환됩니다.
값이 하나만 있을 수도 있을까요?
tup1 = (1) type(tup1) # <class 'int'>
소괄호 안에 값을 하나만 넣은 후 타입을 확인하면 tuple이라고 정의되지 않습니다. 튜플에 값을 하나만 설정할 경우 뒤에 쉼표를 붙여줘야 합니다.
tup1 = (1,) tup2 = 2, tuple([3]) #( 3, )
값이 하나일 땐 쉼표를 붙여야 하고, 튜플 자료형을 정의하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는 것도 기억해주세요.
값에 접근하는 방법
tup1 = ("lemon", "candy") tup2 = ("ti", "story") tup1[0] #"lemon" tup2[0] #"ti"
인덱스로 값에 접근할 수 있다면 슬라이싱도 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싱을 통해서 값들을 합치는 연습을 해보세요.
언팩킹(unpacking)
tup1 = ("lemon", "candy") blog, name = tup1
값을 할당할 변수를 왼쪽에 적고, 오른쪽에 값이 있는 튜플을 적으면 언팩킹이 됩니다. blog엔 "lemon"이라는 값이, name에는 "caandy"라는 값이 담기게 됩니다.
튜플 삭제하기
tup = ("hello", "world") del tup
del tup[0]처럼 튜플형 안의 값을 수정하거나 삭제하려고 하면 에러가 납니다.
오늘은 튜플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인 문법들을 다 다루고 난 뒤엔 파이썬으로 크롤링 파일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감은 제작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Backend-dev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의 자료형 set 알아보기 (0) | 2018.03.30 |
---|---|
파이썬 자료형 딕셔너리 알아보기 (0) | 2018.03.30 |
파이썬의 자료형 list (0) | 2018.03.27 |
파이썬의 불리언(boolean) 값 (0) | 2018.03.27 |
파이썬의 문자열 포맷팅 (0) | 201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