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 배울 것은 마진과 보더 그리고 패딩입니다.



테두리는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가 가실테지만 마진과 패딩에 대해서는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마진, 컨텐츠, 테두리 도식마진과 보더 그리고 패딩에 관해서 도식화 해봤습니다.

 

우선 마진은 엘리먼트와 엘리먼트의 사이 여백을 뜻합니다. 마진에 값을 주면 그 만큼의 거리만큼 다른 엘리먼트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테두리는 말 그대로 엘리먼트의 경계선을 나타냅니다. 컨텐츠는 우리가 실제로 태그 사이의 쓴 글 등이 나타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패딩은 테두리와 컨텐츠 사이에 있는 여백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한 개의 엘리먼트가 있어도 바깥쪽부터 안쪽까지 마진-보더-패딩-컨텐츠라는 네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어느 공간을 넓히거나 좁힐 때 그 부분이 정확히 어느 부분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엘리먼트와의 거리인지 아니면 컨텐츠와 테두리 사이의 공간인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정확히 수정하지 못하겠죠 ?

이제는 예시를 보며 더 정확히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ead> <title>마진,보더,패딩</title> <style> div{ font-size: 32px; width: 400px; text-align: center; padding: 30px; margin: 30px; } body div:first-child{ border: 1px solid green; } body div:last-child{ border: 1px solid blue; } </style> </head> <body> <div>div-1</div> <div>div-2</div> </body>


위의 소스코드를 <html>태그 안에 넣어주세요. <div>태그에 css로 font-size나 text-align, width 값들을 준 이유는 좀 더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편해서 입니다. 지난 시간의 복습겸으로 다른 값들을 넣으셔도 상관없습니다.

엘리먼트에 마진 패딩값 주기소스코드를 실행하면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이 나타납니다.



우선은 border(테두리)에 주목해주세요. 각각의 <div>태그를 구분하기 위해 border 값에 다른 색상을 주었습니다. css 속성의 경우 어떤 속성들은 축약형이 존재 합니다. 1px solid blue는 테두리의 두께와 형태, 색깔을 한번에 준 것입니다. 


border: 1px solid blue; 는 border-width: 1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blue; 처럼 따로 값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div>태그에 마진과 패딩값으로 30px을 주었습니다. 패딩값은 화살표처럼 30px이 된 것을 볼 수 있겠지만, 각 엘리먼트의 사이의 여백을 나타내는 마진 값은 각각 30px씩을 주었는데도 둘 사이의 거리가 60px이 아니라 30px인 것을 주목해 주세요. 이것을 마진겹침 현상이라고 합니다. 


위 아래에 있는 엘리먼트(좌우는 마진겹침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서로가 마진값을 가지고 있을 때 더 큰 쪽의 마진값만 적용되는 것을 마진겹침 현상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밑의 <div>태그의 위 쪽 마진값이 40px이 된다면, 마진겹침현상으로 인해 두 엘리먼트의 사이가 30px에서 40px로 늘어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20px로 바꾼다면 똑같이 30px로 유지되는 것이죠.


마진과 보더 패딩이 이제 무엇인지 이해가 가시나요? 마지막으로 마진값과 패딩값을 주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스코드를 보시면, margin: 30px; 이라고 값을 주었습니다. 이는 상하좌우 모두 30px이라는 값을 준 것입니다. 나름의 축약형이죠. 각 방향에 마진값을 다르게 주고 싶다면 방향을 붙이면 됩니다.


margin: 30px;은 margin-top:30px; margin-right:30px; margin-bottom: 30px; margin-left: 30px; 과 똑같은 의미입니다.


패딩도 위와 같은 형태로 값을 줄수 있습니다. margin 대신에 padding이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은 형태 뿐만 아니라 margin: 30px 20px; 같은 형태도 볼 수 있습니다. 이건 상하에는 30px 좌우에는 20px이라는 마진값을 주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margin: 30px 20px 10px;처럼 값을 세 개 준다면 어떤 의미일까요? 위쪽은 30px, 오른쪽은 20px, 아래쪽은 10px이라는 값을 준 것입니다. 시계방향이라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margin: 20px; (상하좌우에 마진값을 20px)

margin: 20px 30px; (마진값이 상하에는 20px, 좌우에는 30px)

margin: 20px 30px 10px; (마진값이 위엔 20px, 오른쪽엔 30px, 아래쪽엔 10px)

margin: 20px 30px 10px 20px(위엔 20px, 오른쪽엔 30px, 아래쪽엔 10px, 왼쪽엔 20px)


패딩도 똑같습니다. margin 대신에 padding을 집어 넣으면 바뀌는걸 볼 수 있습니다. 값을 3개 이상주면 시계방향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길었지만 이렇게 또 큰 산을 하나 넘었습니다. 다음시간엔 css속성 중에 display와 플렉스박스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공감은 제작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__^


'Frontend-dev > HTML-CSS-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ex의 컨테이너  (0) 2017.12.31
display 속성과 flexbox  (1) 2017.12.28
자주 사용하는 css의 속성들  (0) 2017.12.25
캐스캐이딩의 개념과 css 사용하기  (0) 2017.12.24
CSS 소개와 CSS 선택자  (6) 2017.12.18
댓글